예장통합측(총회장 김태범 목사)이 올해 중점사업으로 진행하는 ‘미자립교회 목회자 생활비 평준화 사업’(평준화사업)에 교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평준화사업’은 한국교회가 공통과제로 안고 있는 미자립교회 목회자들의 최저 생계비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해 보자는 취지에서 시작된 사업으로서 성패여부에 따라 한국교회에 큰 변화를 가져 올 수 있는 중대한 정책이란 점에서 관심의 초점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통합측의 평준화사업이 정착할 경우 미자립교회가 개인 인맥이나 인정에 호소하며 개교회에 지원을 요청하는 모습은 찾아보기 어려워질 전망이다. 또한 필요 이상의 지원을 받아 지원금이 넘치거나 반대로 지원금이 모자라 고통을 겪는 ‘미자립교회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도 현저하게 줄어들 것이란 지적이다. 개교회적 차원의 지원이 아니라 노회가 정해준 미자립교회의 계좌번호로 자립교회가 정기적으로 지원금을 후원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주요 교단의 핵심관계자들도 이 제도 자체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재영 목사(예장 합동측 총무)는 통합측의 ‘평준화 제도’에 대해 “총회 차원에서 미자립교회 교역자의 최저 생계비를 지원하고 교역자는 목회에 전념하게 하는 평준화 정책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임종수 목사(예장 고신측 총무)도 “성공여부에 따라 타교단들이 모범적 선례로 삼아 추진하게 될 중대한 정책”이라고 평가했다.
예장 통합측은 이 정책을 위해 미자립교회와 생활비의 기준을 마련하며 성공적 정착을 위해 간담회를 여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예장 통합측의 기준에 따르면 농어촌지역 교회는 연 예산 2천만 원 이하, 중소 도시 지역 교회 연 예산 2천5백만 원 이하가 미자립교회이고 생활비는 목회자 본인과 가족 2인의 경우 월 1백만 원 등이다. 대형교회의 적극적 참여가 사업의 성패를 가르게 될 것이라는 판단하에 1월 25일 교단 소속 교회를 대상으로 간담회도 개최했다.
그러나 통합측 내부에서는 평준화 사업의 원칙에는 공감하면서도 무리한 사업 진행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들려온다. 정재현 목사(예장 통합 미자립교회연합회 총무)는 “평준화 사업의 입안과 실행이 개척·미자립교회의 대표자들의 참여가 없이 대형교회 관계자들의 탁상공론을 중심으로 이뤄졌다”며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지만 교회 임대료가 많이 나가고 교인들이 20명도 채 되지 않는 교회일 경우 심각한 어려움에 봉착하게 된다”며 제도적 문제점을 지적했다.
실례로 예산이 3천만원을 초과하는 도심지의 교회가 교회·사택 임대료, 차량 할부금, 각종 유지비 등을 떼면 목회자의 사례비조차 줄 수 없는 열악한 환경에서도 평준화 사업의 원칙에 따라 지원을 전혀 받을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평준화 정책의 융통성있는 적용이 필요한 대목이다.
현재 교단 정책의 시행을 위해서는 개교회들은 지금까지 진행하던 후원을 일괄적으로 끊고 노회를 통해서 후원할 미자립교회에 대한 통지가 오기를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다.
이런 몇 가지 문제들이 있음에도 예장통합측의 평준화 정책은 미자립교회 목회자들의 최저 생활비 문제 해결을 위한 획기적인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